useful132 사회적 기업의 5가지 유형 by 사회적기업육성법 제2조 관의 주도가 명확한 대한민국의 사회적 기업 영역은 확실히 장단점이 있다. 시키는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세금혜택이라든지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단점이라고하면.. 창의성상실?ㅋㅋ 이상하게 우리나라는.. 교육제도도 그렇고 대학도 그렇고 기업들도.. 너무 주눅들어있고 틀에 박혀있다. 이 부분이 정말 아쉬운건데.. 아무튼 본론으로 돌아와서 관 주도하에 사회적 기업 유형을 나눈 5가지를 업로드한다. 출처는 2007년에 제정된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제2조이다. 「사회적기업육성법」제2조(정의) 사회적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서비스 또는 일자리 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한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과 판대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1. 일자리 제.. 2019. 10. 24. 사회적 기업 하기 좋은나라 종합순위 The best countries to be a Social Entrepreneur - Main Ranking 세계에서 사회적기업을 하기 가장 좋은 환경을 가진 나라는 어디일까? 2016년 자료라 약간 오래되긴 했지만, 데이터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출처는 'Global Social Entrepreneurship Network'의 통계자료다. 먼저 종합순위를 업로드 해본다. 신기한것은(?) 우리나라가 종합 7위....ㅋㅋㅋ 세부내용을 살펴보니, 정부의 지원이 많아서..ㅎㅎ 아무튼 차례대로 세부지표를 업로드할 예정이다. 역시 미국과 캐나다가 1,2위. The world best countries for a social entrepreneur (Main ranking) 사회적기업하기 좋은 국가 순위 (종합순위) Rank 순위 Country 국가 Score 점수 1 United States 미국 65.9 2 Canada.. 2019. 10. 24.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인증요건 2007년 7월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발효되고, 고용노동부는 인증을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을 지원, 육성시키고 있다. 개인적으로 너무 '관' 주도적인 흐름때문에, 또 다시 부자연스러운 생태계를 만들었다고 평가하지만, 그래도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10여년이 훨씬 지난 지금은 오히려 이 인증 때문에 사회적기업들의 유연성과 특유의 크리에이티브함을 놓치고 있다 판단하여, 인증하는 것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간다고 얼핏 들어것같은데.. 아무튼 기억의 흐름대로 인증요건을 다시 한번 적어본다. 인증요건 주요내용 조직 형태 민법상 법인 또는 조합, 상법상 회사, 또는 비영리민간단체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조직 형태 사회적 목적 실현 당해조직의 주된 목적이 사회서비스를 제공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 2019. 10. 15. 논문을 준비하며.. (feat. 사회적경제, 자원봉사) 그간 수많은 부작용을 가져온 '시장경제중심의 자본주의 capitalism & market economy'를 보완하기 위해 붐업된, 사회적경제 social economy. 우리나라는 역시나 국가주도로 이것이 시작되었는데.. 사회적기업이나 법제도를 준비하고, 자원봉사영역이 관주도로 비정상적으로 발전했던것처럼(그래도 기여한바는 크긴했지만..), 사회적경제도 그만큼 약간은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무리하게 어거지로 강압적으로 동의 consensus 없이, 관주도로 발전시키는것에 반대한다. 사실 자유민주주의와 그 자본주의가 처음에 관주도로 대기업위주 정책으로 이만큼 대한민국을 발전시켰다고.. 결론적으로 생각한다. 그렇지만 모두 알지 않은가? 그만큼 엄청난 부작용과 출혈이 있었다.. 그래도 박정희와 이승.. 2019. 9. 14. 이전 1 ···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