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적경제14

사회적기업가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 국가순위 The general public understands what Social Entrepreneurs do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는 정말 낮다. 내 가족뿐만 아니라, 이 일에 관련되어 종사하는 사람외에 사회적경제나 사회적기업에 대하여 물어보면,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이러한 통계는 '사회적기업가에 대한 대중인지도 국가순위'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16위에 랭크된 우리나라는 앞으로 대중에게 사회적경제와 그 생태계에 대한 많은 계몽이 필요해 보인다. @ The general public understands what Social Entrepreneurs do 사회적기업가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 국가순위 Ranking 순위 Country 국가 1 Israel 이스라엘 2 Chile 칠레 2 Venezuela 베네수엘라 4 UK 영국 4 Argentina 아르헨티나 6 Canada .. 2019. 10. 31.
사회적 기업의 창업과 성장하기 좋은나라 순위 Conditions are favorable for social entrepreneurs to start and grow their business 사회적 기업을 하기 위한 좋은 사업 아이템이 있다고 할지라도, 그 환경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시작하고 성장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사실 이러한 면에서 만약 국가가 전폭적인 지원을 해준다면 일할 맛 날것 같다. 우리나라는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 이후 혜택을 주고 있는데, 그래서 아마도 이번 순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것 같다. 우리나라는 이스라엘, 인도, 인도네시아와 함께 6위에 랭크되었고, 1위는 여전히 역시나 미국. 기타 TOP20 랭킹은 아래 표와 같다. Conditions are favorable for social entrepreneurs to start and grow their business / 사회적 기업의 창업과 성장하기 좋은나라 순위 Rank 순위 Country 국가 1 Unites.. 2019. 10. 25.
사회적 기업의 5가지 유형 by 사회적기업육성법 제2조 관의 주도가 명확한 대한민국의 사회적 기업 영역은 확실히 장단점이 있다. 시키는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세금혜택이라든지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단점이라고하면.. 창의성상실?ㅋㅋ 이상하게 우리나라는.. 교육제도도 그렇고 대학도 그렇고 기업들도.. 너무 주눅들어있고 틀에 박혀있다. 이 부분이 정말 아쉬운건데.. 아무튼 본론으로 돌아와서 관 주도하에 사회적 기업 유형을 나눈 5가지를 업로드한다. 출처는 2007년에 제정된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제2조이다. 「사회적기업육성법」제2조(정의) 사회적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서비스 또는 일자리 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한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과 판대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1. 일자리 제.. 2019. 10. 24.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인증요건 2007년 7월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발효되고, 고용노동부는 인증을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을 지원, 육성시키고 있다. 개인적으로 너무 '관' 주도적인 흐름때문에, 또 다시 부자연스러운 생태계를 만들었다고 평가하지만, 그래도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10여년이 훨씬 지난 지금은 오히려 이 인증 때문에 사회적기업들의 유연성과 특유의 크리에이티브함을 놓치고 있다 판단하여, 인증하는 것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간다고 얼핏 들어것같은데.. 아무튼 기억의 흐름대로 인증요건을 다시 한번 적어본다. 인증요건 주요내용 조직 형태 민법상 법인 또는 조합, 상법상 회사, 또는 비영리민간단체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조직 형태 사회적 목적 실현 당해조직의 주된 목적이 사회서비스를 제공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 2019. 10. 15.
모든 것을 바꾸는 한 가지, 신뢰 - 줄거리 7년 전에 만들어진 다큐멘터리임에도, 보는 내내 울림이 있었다. 우리가 함께 사회를 살아가며 반드시 필요한 ‘사회적 자본’. 그 중에서도 중요한 신뢰가 가져다주는 이로움에 대해 실험과 이론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각 도시의 길거리에서 돈을 빌리는 실험을 통해,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서로에 대한 신뢰 수준을 엿볼 수 있었다. 그것을 일반화된 신뢰라고하며, 사회가 어떠한 담보 없이도 서로를 믿을 수 있는 그런 일종의 자본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예상보다 우리나라 신뢰도 수준이 높은 결과를 가져온 것에 놀랐다. ‘신뢰의 경제학’이라는 이론을 만들며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신뢰’가 정말 중요한 자본이라고 말하는 폴 잡 교수를 통해, 물론 그 실험이 오차 없이 완벽하게 보여줄 수는 없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 2019. 9. 24.
논문을 준비하며.. (feat. 사회적경제, 자원봉사) 그간 수많은 부작용을 가져온 '시장경제중심의 자본주의 capitalism & market economy'를 보완하기 위해 붐업된, 사회적경제 social economy. 우리나라는 역시나 국가주도로 이것이 시작되었는데.. 사회적기업이나 법제도를 준비하고, 자원봉사영역이 관주도로 비정상적으로 발전했던것처럼(그래도 기여한바는 크긴했지만..), 사회적경제도 그만큼 약간은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무리하게 어거지로 강압적으로 동의 consensus 없이, 관주도로 발전시키는것에 반대한다. 사실 자유민주주의와 그 자본주의가 처음에 관주도로 대기업위주 정책으로 이만큼 대한민국을 발전시켰다고.. 결론적으로 생각한다. 그렇지만 모두 알지 않은가? 그만큼 엄청난 부작용과 출혈이 있었다.. 그래도 박정희와 이승.. 2019.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