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6

사회적 가치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솔직히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나 이를 입증할 실제적인 연구자료들은 아직 많지 않다. 해외의 사례를 보더라도 이제서야 '사회적 임팩트'의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라고 해야할까? 이러한 이론들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많은 사례들이 필요한데, 어쨋든 지금이라도 많은 씨를 뿌려놓아야 나중에 거둘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공공기관과 민간에서는 사회적 임팩트의 증거를 입증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에 대한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 이게 참 주관적일 수 있는 부분인데, 양적 질적 효과를 따져서 정량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누군가는 총대를 매서 표준화해야하지 않을까? 그런 의문이 있는참에, 발견한 것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만든 '사회가치 측.. 2020. 1. 18.
UN이 정의한 비영리기관의 특징 7가지 이미 비영리단체(Non-Profit Organization)와 비정부단체(Non-Governmental Organization)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다. 한편 유에(United Nations)은 한데 묵은 비영리기관(Non-Profit Institution)에 대하여 지난 2003년 핸드북을 제작하여 그 특징을 7가지로 정리한 바 있는데 그 내용에 대하여 아래에 적어본다. 곱씹어보면, 2000년대 초반 비영리 쪽 개념에 대해 느낄수 있다. *** 비영리기관(NPI)은 현재 활동중인 정부섹터와 기업을 포함한 범주들과 다른 독특한 중요한 특징과 생산 기능을 갖는다. 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NPIs have distinct features that give them production functions .. 2020. 1. 11.
사회적경제의 다양한 조직의 사회적 목적 비교 - European Commission 사회적 경제라는 생태계 속에는 다양한 조직들이 비슷하지만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공존하고 있다. 비영리조직을 아우르는 재단과 결사체, 그리고 협동조합은 특히 영리조직인 주식회사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에 따른 '사회적 목적' 을 비교한 표를 'European Commission(EC)'에서 발간한 'A map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eco-systems in Europe(2015)'에서 발췌해 보았다. 유럽의 사회적경제와 그 생태계가 어찌 우리와 같을수 있냐라는 우문은 제발... 그저 앞서간 학문으로서 그리고 그들의 데이터를 근거로 체계화하여 정리한 자료로서 참고하여 보면 분명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인것처럼 우.. 2020. 1. 11.
B corps 와 Benefit Corp 사회적기업을 넘어 착한기업이 되기 위한 인증으로 많이 알려진 B corps(비콥)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이 인증제도를 통해 소비자들은 기업의 책임감 있는 행실을 알 수 있다. 책무성(accountability), 투명성(transparency)는 물론 환경적(Eco-friendly), 사회적(Social)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이 B corps 인증은 기업스스로가 기준표를 채점하여 셀프로 보고하게 되어있는데, 그러면 과연 실효성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실제로 뭔가 그런 자율성을 토대로 발전하고 있다는것이 더 놀랍다. 많은 인증기업들이 겉으로 보기에는 차이점을 모를수있으나, 최소한 자신들이 그러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을 의식하고 준비하여, 보고까지 한다는 점이.. 2020. 1. 10.
사회적 가치 기본법(안) vs UN 글로벌컴팩트 vs 국제표준화기구(ISO) 우리나라의 '사회적 가치 기본법'은 언제쯤 통과될 수 있을까? 지난 2014년 발의된 '사회적 경제 기본법'이 아직까지도 국회에서 계류중인것으로 봐서는 그 시기를 누구도 장담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마냥 넋 놓고 있을수는 없다. 사회적 가치에 준하는 개념과 지표들을 만들고 그것에 맞춰 활동하는 대표적인 국제기관들의 사례와 우리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 기본법(안)을 아래의 표를 통해 비교해보았다. 먼저 추진하고 있는 선진국의 사례를 잘 분석하고 참고하여 우리의 실정에 잘 맞는, 가능한 모두가 공감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법안이 제정되고 추진되어 더 좋은 사회를 만들게 되기를 바란다. *** UN Global Compact (UN 글로벌컴팩트) International Standard .. 2020. 1. 9.
오랜간만에 가정법 정리 in English The Conditionals are also called the "if-clauses" because "if" is the main word in the sentence or question. A conditional sentence typically consists of an if-clause (which presents a condition) and a result clause. For example: If it rains, the streets get wet. There are four types of Conditionals or "if-clauses": 1. The zero conditional: It expresses conditions that are always true, with auto.. 2020. 1. 8.
CCM 찬양 '원곡' 정리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할찌어다 할렐루야!" Let everything that breathes sing praises to the Lord, Praise the Lord! - Psalms 150:6 - 정말 많은 찬양곡들이 한글로 번역되어 예배에 쓰임받고 있습니다. 이 은혜로운 곡들의 원곡은 어떤것인지 궁금해서 모아보았습니다. 'ctrl + F' 키를 이용하여 제목을 검색해보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샬롬. ----- [ㄱ] 가장 높은 주 이름 - No other name 감사와 찬양드리며 (주님께 감사드리라) - For the Lord is good 감사함으로 그 문에 들어가며 - I will enter His gate (He has made me glad) 갈급한 내 맘 - I’.. 2020. 1. 4.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인증 현황 (2019년 9월 기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따르면 2019년 9월 기준으로 인증된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의 수는 총 2,306개가 활동하고 있다. 이는 총 65차에 걸친 인증을 따른 것이며,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에 35.5%(824개)가 몰려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경북(150개), 인천(139개), 전북(137개) 순이다. 본 자료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의한 것이며, 더욱 자세한 내용과 연관된 자료는 그 홈페이지(http://www.socialenterprise.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2019.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