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01 사회적임팩트의 광의적 개념 Broad concept of Job on Social Impact 아주 일차원적으로, 단순히 생각해보자. 사회적가치란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도움이되는 그런 가치를 말한다고 볼수 있겠다. 그러면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그것은 무얼까? 무엇이 우리사회에 도움이 될까? 아주 팍 떠오르는 것은 예를들면, 일자리, 주거, 치안, 교육 등등이 바로 나올수 있겠다. 너무나도 얽히고 섥혀버린 현대사회를 사는 현대인에게 함께 같은 사회를 사는 구성원들이 잘되야 나도 잘 될수 있는것이다. 내가 모르는 타인일지라도 일자리를 갖게된다는 것은, 그로 인해 직간접적인 영향이 나에게도 미침을 의미한다. 그래, 그렇게 생각해보자. 이런 사회적 가치를 '빵'하고 넓게 퍼뜨리고 더욱 영향력을 실어주는 것을 '사회적 임팩트'라고 할수 있겠다. 이 개념 또한 이렇게 생각하면 쉽다. 먼저 '영향력'.. 2020. 1. 28. 2018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는 어떻게 되었나? _ 기획재정부 제3섹터 사람으로서, 사회적 경제와 그것에 맞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기관과 그 정책에 대해 관심이 많다. 이제 2020년 초이기 때문에 2019년 작년자료를 찾는 것은 거의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에, 2018년도 평가된 공공기관의 경영실적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여러번 강조했듯 2017년 문정부 이후, 우리나라는 사회적 경제와 그 패러다임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100대 국정과제에도 사회적 경제 활성화와 그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하여 포함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2018년의 공공기관 자료는 그 첫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 자료는 중앙의 기획재정부의 보도자료로 발표된 것이다. 물론 공공기관은 그 각자의 역할들에 따라 중요한 일을 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 .. 2020. 1. 22. 사회적 임팩트 측정을 위한 기준 _ EC(European Commission) 2014 우리나라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적 후원과 관심속에서, 성장해가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이것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성과가 나타나야하는데, 그것을 '사회적 가치'로 말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우리 사회에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사회적 임팩트'로서 측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사회적 임팩트'라는 것은 단기간의 성과나 단순한 산출물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우리가 이런 사업(좋은일)해서 이만큼 결과를 냈어'라는 단순히 수치는 말하지 않는다. 그 성과는 산출물(output) 더 나아가 결과물(outcome)이라고 한다. 이것이 약간 혼동될수 있는 개념인데, 예를 들어보면 이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고용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했을때, 산출물(outp.. 2020. 1. 20. 사회적 가치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솔직히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나 이를 입증할 실제적인 연구자료들은 아직 많지 않다. 해외의 사례를 보더라도 이제서야 '사회적 임팩트'의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라고 해야할까? 이러한 이론들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많은 사례들이 필요한데, 어쨋든 지금이라도 많은 씨를 뿌려놓아야 나중에 거둘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공공기관과 민간에서는 사회적 임팩트의 증거를 입증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에 대한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 이게 참 주관적일 수 있는 부분인데, 양적 질적 효과를 따져서 정량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누군가는 총대를 매서 표준화해야하지 않을까? 그런 의문이 있는참에, 발견한 것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만든 '사회가치 측.. 2020. 1. 18. UN이 정의한 비영리기관의 특징 7가지 이미 비영리단체(Non-Profit Organization)와 비정부단체(Non-Governmental Organization)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다. 한편 유에(United Nations)은 한데 묵은 비영리기관(Non-Profit Institution)에 대하여 지난 2003년 핸드북을 제작하여 그 특징을 7가지로 정리한 바 있는데 그 내용에 대하여 아래에 적어본다. 곱씹어보면, 2000년대 초반 비영리 쪽 개념에 대해 느낄수 있다. *** 비영리기관(NPI)은 현재 활동중인 정부섹터와 기업을 포함한 범주들과 다른 독특한 중요한 특징과 생산 기능을 갖는다. 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NPIs have distinct features that give them production functions .. 2020. 1. 11. 사회적경제의 다양한 조직의 사회적 목적 비교 - European Commission 사회적 경제라는 생태계 속에는 다양한 조직들이 비슷하지만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공존하고 있다. 비영리조직을 아우르는 재단과 결사체, 그리고 협동조합은 특히 영리조직인 주식회사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에 따른 '사회적 목적' 을 비교한 표를 'European Commission(EC)'에서 발간한 'A map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eco-systems in Europe(2015)'에서 발췌해 보았다. 유럽의 사회적경제와 그 생태계가 어찌 우리와 같을수 있냐라는 우문은 제발... 그저 앞서간 학문으로서 그리고 그들의 데이터를 근거로 체계화하여 정리한 자료로서 참고하여 보면 분명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인것처럼 우.. 2020. 1. 11. B corps 와 Benefit Corp 사회적기업을 넘어 착한기업이 되기 위한 인증으로 많이 알려진 B corps(비콥)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이 인증제도를 통해 소비자들은 기업의 책임감 있는 행실을 알 수 있다. 책무성(accountability), 투명성(transparency)는 물론 환경적(Eco-friendly), 사회적(Social)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이 B corps 인증은 기업스스로가 기준표를 채점하여 셀프로 보고하게 되어있는데, 그러면 과연 실효성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실제로 뭔가 그런 자율성을 토대로 발전하고 있다는것이 더 놀랍다. 많은 인증기업들이 겉으로 보기에는 차이점을 모를수있으나, 최소한 자신들이 그러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을 의식하고 준비하여, 보고까지 한다는 점이.. 2020. 1. 10. 사회적 가치 기본법(안) vs UN 글로벌컴팩트 vs 국제표준화기구(ISO) 우리나라의 '사회적 가치 기본법'은 언제쯤 통과될 수 있을까? 지난 2014년 발의된 '사회적 경제 기본법'이 아직까지도 국회에서 계류중인것으로 봐서는 그 시기를 누구도 장담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마냥 넋 놓고 있을수는 없다. 사회적 가치에 준하는 개념과 지표들을 만들고 그것에 맞춰 활동하는 대표적인 국제기관들의 사례와 우리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 기본법(안)을 아래의 표를 통해 비교해보았다. 먼저 추진하고 있는 선진국의 사례를 잘 분석하고 참고하여 우리의 실정에 잘 맞는, 가능한 모두가 공감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법안이 제정되고 추진되어 더 좋은 사회를 만들게 되기를 바란다. *** UN Global Compact (UN 글로벌컴팩트) International Standard .. 2020. 1. 9.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