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6

자활기업, 자활사업이 뭐지? 사회적 경제 생태계중 하나인 '자활기업'에 대한 개념이 약해,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았다. '자활기업'과 그 사업은 말 그대로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필요한 '주거, 의료, 교육, 자활, 생계급여 등을 제공하여 사람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조성하기 위한 기업을 말한다. 이들 중 근로의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일을 하는 조건으로 필요한 급여를 제공받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일을 통해 수급자를 탈피하도록 즉 자활을 할 수 있도록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는 곳이 각 지역에 있는 '지역자활센터'와 '광역자활센터'이다. 출처. 한국자활복지개발원 그러면, 자활사업의 목적은 무엇일까? '한국자활복지개발원'에서는 다음의 2가지로 정리한다. 1. 근로능력자의 기초생활을 보장하는 '국.. 2020. 2. 14.
영어회화 프리토킹을 위한 질문 55개 모음 (in 영어, 스페인어) 뉴욕에서 ESL을 제공하는 NGO에서 영어 프리토킹 자원봉사를 시작하면서 얻은 자료다. 이 질문들은 영어를 처음시작한 초보자나 어느 정도 사용할 줄 아는 중급자들에게도 프리토킹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문장 들이다. 사실 프리토킹이라는 것을 할 때, 서로 생판 모르는 사이라면 어떤 것부터 해야 할지 모른다. 그런 차원에서 보면 어쩌면 시시해 보이는 이런 문장들이 있다면 어중이떠중이 삼천포로 갈 수 있는 대화의 주제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미국에는 정말 많은 스패니쉬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거주한다. 대부분이 미국과 국경이 맞닿은 멕시코부터 콜롬비아, 브라질, 과테말라 등등 중남미 나라에서 온 이민자들일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이 질문들에 영어와 스페니쉬가 함께 명기되.. 2020. 2. 7.
책임투자란 무엇인가? _ UNPRI 자본주의를 보완하기 위한 사회적 경제 그리고 그와 관련된 많은 움직임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기업들의 책임있는 활동을 요구하는 방향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그 중 UN 등의 큰 NGO, NPO 기관들은 일종의 감시와 견제를 통해 기업들의 책무를 유도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책임 투자 PRI,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이다. 이것을 주도하는 UN은 2006년 UNPRI를 만들어 기업들이 보다 책임감있고 지속가능하게 하는 활동을 독려하고 있다. UNPRI에는 6대 원칙이 있다. 이것에 서명한 기관들은 이 6가지 원칙을 지키도록 요구받는다. 일종의 '인증 플랫폼'인 셈이다. 개인적으로 볼때 UN이 정말 잘하는게 바로 이런거라고 생각한다. 공신력이 .. 2020. 2. 4.
영감을 주는 크리스천 묵상, 명언 모음 하나님을 아는 만큼, 그 분을 신뢰할 수 있다 - 조나단 에드워드 Men will trust in God no further than they know Him - Jonathan Edwards 감정과 양심보다 하나님 말씀을 더 신뢰해야한다 - 마틴 루터 You should not believe your conscience and your feelings more than the Word - Martin Luther 내가 훨씬 잘났다고 느끼면서, 남을 용서한다고? 불가능한 일이다 - 팀 켈러 It is impossible to forgive someone if you feel superior to him or her - Tim Keller 이해가 되든 안되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 받아들이는 것... 2020. 2. 1.
내가 만약 창업한다면, 사회적기업 vs 협동조합 vs 마을기업 vs 자활기업?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크게 살펴보자면.. 아마도 크게 4가지 일 것이다 -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물론 수많은 종류의 비영리단체들(NGO, NPO)들과 결사체들이 존재하겠지만.. 정부가 제도권안에 둘려고 하는(?) 그런 어떤 꼭지에서보면 그렇다는거다. 만약에 이 4가지 중에서 창업을 해야만 한다면 어떤것이 더 좋을까? 내가 만약 소셜벤처의 창업을 하게 된다면, 나는 사회적기업을 선택할 것이다.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이 3가지는 창업을 하기 위한 환경과 그에 맞는 배경이 정말 중요하다. 물론 사회적기업 또한 여러 가지 필요조건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지역주민의 니즈를 파악하고 각종 지역 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으로 공동의 지역문제를 해결하며, 게다가 소득 및 일자리까지 창출해야.. 2020. 1. 31.
사회적임팩트의 광의적 개념 Broad concept of Job on Social Impact 아주 일차원적으로, 단순히 생각해보자. 사회적가치란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도움이되는 그런 가치를 말한다고 볼수 있겠다. 그러면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그것은 무얼까? 무엇이 우리사회에 도움이 될까? 아주 팍 떠오르는 것은 예를들면, 일자리, 주거, 치안, 교육 등등이 바로 나올수 있겠다. 너무나도 얽히고 섥혀버린 현대사회를 사는 현대인에게 함께 같은 사회를 사는 구성원들이 잘되야 나도 잘 될수 있는것이다. 내가 모르는 타인일지라도 일자리를 갖게된다는 것은, 그로 인해 직간접적인 영향이 나에게도 미침을 의미한다. 그래, 그렇게 생각해보자. 이런 사회적 가치를 '빵'하고 넓게 퍼뜨리고 더욱 영향력을 실어주는 것을 '사회적 임팩트'라고 할수 있겠다. 이 개념 또한 이렇게 생각하면 쉽다. 먼저 '영향력'.. 2020. 1. 28.
2018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는 어떻게 되었나? _ 기획재정부 제3섹터 사람으로서, 사회적 경제와 그것에 맞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기관과 그 정책에 대해 관심이 많다. 이제 2020년 초이기 때문에 2019년 작년자료를 찾는 것은 거의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에, 2018년도 평가된 공공기관의 경영실적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여러번 강조했듯 2017년 문정부 이후, 우리나라는 사회적 경제와 그 패러다임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100대 국정과제에도 사회적 경제 활성화와 그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하여 포함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2018년의 공공기관 자료는 그 첫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 자료는 중앙의 기획재정부의 보도자료로 발표된 것이다. 물론 공공기관은 그 각자의 역할들에 따라 중요한 일을 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 .. 2020. 1. 22.
사회적 임팩트 측정을 위한 기준 _ EC(European Commission) 2014 우리나라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적 후원과 관심속에서, 성장해가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이것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성과가 나타나야하는데, 그것을 '사회적 가치'로 말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우리 사회에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사회적 임팩트'로서 측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사회적 임팩트'라는 것은 단기간의 성과나 단순한 산출물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우리가 이런 사업(좋은일)해서 이만큼 결과를 냈어'라는 단순히 수치는 말하지 않는다. 그 성과는 산출물(output) 더 나아가 결과물(outcome)이라고 한다. 이것이 약간 혼동될수 있는 개념인데, 예를 들어보면 이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고용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했을때, 산출물(outp.. 2020.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