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나 이를 입증할 실제적인 연구자료들은 아직 많지 않다. 해외의 사례를 보더라도 이제서야 '사회적 임팩트'의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라고 해야할까? 이러한 이론들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많은 사례들이 필요한데, 어쨋든 지금이라도 많은 씨를 뿌려놓아야 나중에 거둘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공공기관과 민간에서는 사회적 임팩트의 증거를 입증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에 대한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 이게 참 주관적일 수 있는 부분인데, 양적 질적 효과를 따져서 정량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누군가는 총대를 매서 표준화해야하지 않을까? 그런 의문이 있는참에, 발견한 것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만든 '사회가치 측정 지표'이다. 이게 약간 애매해서 설명이 필요한 부분도 많이 있지만, 일단 정부에 관련된 기타공공기관으로서 만들었다는 배경과 2017년부터 지자체와 공공기관들에 무지하게 압박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사업계획시 기관들의 나름 지침서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자료들이 더 많이 만들어지고, 실제로 결과들이 잘 추적되어 '사회적 경제'와 그 생태계가 더욱 발전하는 대한민국을 기대해 본다.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사회 가치 측정 지표']
관점 | 범주 | 영역 | 측정지표 | 배점 |
사회적성과(60) | 조직 미션(10) | 사회적 미션의 관리 | 1. 사회적 성과 추구여부 | 5 |
2. 사회적 성과 평가체계 구축 | 5 | |||
사업 활동(30) | 주사업활동의 사회적 평가 | 3. 사업활동의 사회적 성과 지향성 | 10 | |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축 노력 | 4. 사회적 경제 조직 간의 협력 수준 | 5 | ||
5. 지역사회와의 협력 수준 | 5 | |||
이윤의 사회적 목적 재투자 | 6. 이윤의 사회적 환원 노력도 | 10 | ||
조직 운영(20) | 운영의 민주성 | 7. 참여적 의사결정 비율 | 5 | |
근로자 지향성 | 8. 근로자 임금수준 | 10 | ||
9. 근로자 역량강화 노력 | 5 | |||
경제적 성과(30) | 재정 성과(30) | 고용창출 및 재정성과 | 10. 고용성과 | 10 |
11. 매출성과 | 10 | |||
12. 영업성과 | 5 | |||
노동성과 | 13. 노동생산성 | 5 | ||
혁신 성과(10) | 기업 혁신(10) | 기업활동에서의 혁신성 | 14. 기업운영 및 제품의 혁신성 | 10 |
계 | 14개 지표 | 100 |
*출처. http://www.socialenterprise.or.kr/so_disclosure/social_value_check.do
'usefu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는 어떻게 되었나? _ 기획재정부 (0) | 2020.01.22 |
---|---|
사회적 임팩트 측정을 위한 기준 _ EC(European Commission) 2014 (0) | 2020.01.20 |
UN이 정의한 비영리기관의 특징 7가지 (0) | 2020.01.11 |
사회적경제의 다양한 조직의 사회적 목적 비교 - European Commission (0) | 2020.01.11 |
B corps 와 Benefit Corp (0) | 2020.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