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servative

'정체성 사회주의'에 대하여 What is Identity Socialism?

by ifnotnow82 2021. 3. 24.

새로운 형태의 사회주의가 온다. 아니, 이미 스며들었다. '정체성-사회주의'(Identity-Socialism)라고 불리는 이 사회주의의 정체는 뭘까? 이번에는 어떤 껍데기를 씌워서 우리 사회를 현혹할까? 본 내용은 미국 보수 씽크탱크 NGO '프래거유'(Prager University)의 자료다. 

 

[영상 먼저보기] youtu.be/XuzSFai5tno

 

 

[한영스크립트]

There’s a new socialism in town. I call it identity socialism.

새로운 사회주의가 등장했습니다. 저는 그것을 정체성-사회주의라고 부릅니다.

 

The old socialism, the kind Karl Marx dreamed up, was all about the working class, the sort of blue-collar worker who, ironically, voted for President Trump. But today’s socialist couldn’t care less about the guy in the hardhat. He had his chance at revolution and blew it. Today’s socialist is all about race, gender, and transgender rights.  Class is an afterthought.

칼 마르크스가 꿈꿨던 옛날의 사회주의는 노동자 계급, 블루칼라 노동자에 대한 것이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를 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사회주의자들은 그 안전모(블루칼라)를 쓴 사람들에 대해 조금도 관심이 없습니다. “그는 혁명의 기회를 가졌지만, 그것을 날려버렸다.” 오늘날의 사회주의자는 인종, 젠더, 그리고 트랜스젠더의 권리에 대하여 말합니다. “계급은 그 나중에 생각하고 말이죠.

 

To understand this is to understand the Left’s takeover of the college campus and all the ills that takeover has spawned: from MeToo to Black Lives Matter to girls competing against biological boys. But campus culture has now metastasized into the culture of the whole society. As liberal writer Andrew Sullivan has put it: “We all live on campus now.”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좌파가 대학 캠퍼스를 점령한 것을 알아야 하며, 그로 인해 발생한 모든 것들, 미투운동부터 ‘BLM’과 여성들이 생물학적 남성에 반대하여 경쟁하는 것까지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캠퍼스 문화는 이제 사회 전체의 문화로까지 전이되었습니다. 진보작가 앤드류 설리반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 모두는 지금 캠퍼스에 살고 있습니다

 

Identity socialism is first and foremost about division. Not just class division, but now race division, gender division, transgender division. Blacks and Latinos are in, whites are out. Women are in, men are out. Gays, bisexuals, transsexuals, transgenders are in; heterosexuals are out. Illegals are in, native-born citizens are out.

정체성 사회주의는 무엇보다도 분열에 관한 것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계급의 분열이 아닌, 인종 분열, 젠더 분열, 트랜스젠더 분열에 대한 것입니다. 흑인과 라틴계는 괜찮지만, 백인은 안됩니다. 여자들은 괜찮지만, 남자는 안되는 것이죠. 동성애자, 양성애자, 성전환자, 트랜스젠더는 괜찮지만, 이성애자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불법체류자는 괜찮고, 본토의 시민들은 안된다는 것입니다.

 

One may think this is all part of the politics of inclusion, but to think that is to get only half the picture. The point, for the left, is not merely to include but also to exclude. So, where did this identity socialism come from? Meet Herbert Marcuse.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포용의 정치의 일부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그저 절반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좌파의 요점은, 단순히 포함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제외시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정체성 사회주의는 어디에서 왔을까요?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를 보시겠습니다.

 

Born in Berlin in 1898, Marcuse fled Germany at the dawn of the Nazi era. After stints at Columbia, Harvard, and Brandeis, Marcuse moved to California, where he joine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 in 1965. You’d think that living in a paradise like Southern California with all the comforts and privileges of academic life, might have softened Marcuse’s Marx-like hatred of capitalism. But it was not to be. If anything, the more he prospered the more he wanted to bring the system down.  

1898년 베를린에서 태어난 마르쿠제는 나치 시대 초기에 독일로부터 도망쳤습니다. 컬럼비아, 하버드,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일한, 마르쿠제는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1965년 샌디에이고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으로 옮겼습니다. 여러분은 학구적인 삶의 모든 안락함과 특권을 가진 남부 캘리포니아 같은 낙원에서 사는 것이 마르크스와 같은 자본주의에 대한 마쿠제의 증오를 누그러뜨렸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는 잘 될수록, 시스템을 더 무너뜨리고 싶어했습니다.

 

He had a problem, however. A big one. Socialism didn’t work in America. Life was too good. The working class in the US didn’t aspire to overthrow the existing order, they aspired to own a home. How could you foment revolution without revolutionaries? Classic Marxism had no answer for this. But almost a hundred years after Marx, Marcuse did. The answer was college students. They would be the recruits for what he termed the Great Refusal—the repudiation and overthrow of free-market capitalism.

하지만 그는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아주 큰 문제였죠. 사회주의가 미국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의 삶이 정말 좋았던 거죠. 미국의 노동자들은 기존의 질서를 타도하려고 하기보다, 오히려 집을 갖고 싶다는 열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혁명가들이 없이 어떻게 혁명을 일으킬 수 있을까요? 고전적인 마르크스주의는 이에 대한 답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마르크스 이후 거의 100년이 지나고, 마르쿠제는 해냈습니다. 해답은 대학생들이었습니다. 그들은 그가 말하는 자유 시장경제의 자본주의를 거부하고 타도하는 위대한 거절의 군사들이 될 것입니다.

 

Conditions were perfect. The students of the sixties were already living in what was in effect a socialist commune—a university campus. Rather than being grateful to their parents for providing them with this opportunity to learn and study, they were restless and bored. Most importantly they were looking for “meaning,” a form of self-fulfillment that went beyond material gratification. 

상황은 완벽했습니다. 60년대의 학생들은 이미 사실상 사회주의 공동체인 대학 캠퍼스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 이 기회를 만들어 준 그들의 부모에게 감사하기보다, 그들은 불안해하며 지루함을 느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이 물질적 만족을 넘어서는, 자기 성취의 한 형태인 뭔가"의미있는 것을 찾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Of course, as with all successful social movements, timing was critical. Here Marcuse was very fortunate. The sixties was the decade of the Vietnam War. Students faced the prospect of being drafted. Thus, they had selfish reasons to oppose the conflict. Marcuse and his acolytes turned this selfishness into righteousness by teaching the students that they weren’t draft-dodgers; they were noble resisters who were part of a global struggle for social justice. 

물론, 모든 성공적인 사회 운동과 마찬가지로 타이밍이 중요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마르쿠제는 매우 운이 좋았습니다. 60년대는 베트남 전쟁의 시대였습니다. 학생들은 징집될 국면에에 직면했었죠. 따라서, 그들은 그 갈등을 반대하는 이기적인 이유가 있었습니다. 마르쿠제와 그의 추종자들은 학생들에게 너희는 병역기피자가 아니야라고 가르침으로써, 그들의 이기심을 정당성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들은 사회 정의를 위해 세계적을 투쟁하는 일부 고귀한 저항자들이었습니다.

 

Marcuse portrayed Ho Chi Minh and the Viet Cong as a kind of Third World proletariat, fighting to free themselves from American Imperialism. This represented a transposition of Marxist categories. The new working class were the Vietnamese “freedom fighters.” The evil capitalists were American soldiers serving on behalf of the American government.

마르쿠제는 호치민과 베트공을 일종의 제3세계 프롤레타리아로 묘사하여, 미국 제국주의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투쟁하였습니다. 이것은 마르크스주의 분야의 전이를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새로운 노동자 계급은 베트남의 "자유 투사"였습니다. ‘사악한 자본가들은 미국 정부를 대신하여 복무하는 미군들이었습니다.

 

Marcuse found, in addition to the students, other groups ripe for the taking. The first was the Black Power movement, which was a militant adjunct to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 beauty of this group, from Marcuse’s point of view, was that, unlike white students, its members wouldn’t have to be instructed in the art of grievance; blacks had grievances that dated back centuries. Through another Marxist transposition, “blacks” would become the working class, “whites” the capitalist class.  Race, in this analysis, took the place of class.

마르쿠제는 학생들 외에도 다른 그룹들도 준비되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첫 번째는 민권운동의 전투적 부속물이었던 흑인권력운동이었습니다. 마르쿠제의 관점에서 보면, 이 집단의 좋은점은 백인 학생들과는 달리, 그 구성원들이 불평을 하는 기술을 배울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흑인들은 수세기 전부터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 다른 마르크스주의 전치를 통해, 흑인은 노동자 계급이 되고, 자본주의 계급은 "백인들"이 되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인종이 계급을 대신한 것입니다.

 

Another emerging source of disgruntlement was the feminists. Marcuse recognized they too could be taught to see themselves as an oppressed class. This of course would require a further Marxist transposition: “women” would now be viewed as the working class and “men” the capitalist class; the class category would now be shifted to gender.

또 다른 새로운 불만의 근원은 페미니스트였습니다. 마르쿠제는 그들 역시 자신을 억압받는 계층으로 보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인지했습니다. 물론 이것은 더 많은 마르크스주의 전치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여성"은 이제 노동자 계층으로, "남성"은 자본주의 계층으로 여겨질 것이며, 계층 범주는 이제 젠더로 전환될 것입니다.

 

Marcuse recognized that educating and mobilizing all these groups— the bored students, the aggrieved blacks, and the angry feminists—would take time. But he wasn’t in a hurry. Soon enough the radical students would be the radical professors teaching identity socialism to a fresh crop of impressionable recruits.

마르쿠제는 이러한 의미를 잃은 학생들과, 불만을 품은 흑인들 그리고 분노하는 페미니스트들을 모으고 교육시키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서두르지 않았습니다. 곧 급진적인 학생들이 괜찮은 새로운 학생들에게 정체성 사회주의를 가르치는 급진적인 교수들이 될 것입니다.

 

Over time, Marcuse believed, the university could produce a new type of culture, and that culture would then spill into the larger society to infect primary education, the news media, and entertainment. Even big business, the hated capitalist class, itself, would succumb.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르쿠제는 대학이 새로운 형태의 문화를 생산할 수 있고, 그 후 그 문화가 초등 교육, 뉴스 미디어,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에 오염시키기 위해 더 큰 사회로 퍼져나갈 것이라 믿었습니다.

 

He was right. Identity socialism has arrived. I’m Dinesh D’Souza for Prager University.

그가 옳았습니다. 이제정체성 사회주의가 왔습니다. 저는 프래거대학의 디네시 디수자 입니다.

 

댓글